Etc

mac 처음사면 해야하는 세팅 (2505수정)

mynamemj 2024. 4. 20. 13:48
반응형

생각보다 처음 할 세팅이 많지 않다. 특별한 세팅보다는 일반적인 세팅 중 내가 어떤걸 했는지 소개하는 글이다. 목차기능이 없는건지 찾을 수 없어서 나열을 해볼테니 원하는걸 골라서 보면 될 듯하다.

1. App Store에서 필요한 앱 설치
2. 크롬 설치(브라우저)
3. 기본 웹 브라우저 세팅(링크 클릭하면 어떤 브라우저 사용할 건지)
4. 화면분할 단축키로
5. 화면 잠금 단축키 변경(win+L)
6. 폴더 정렬

맥북을 처음 사고 어떤 세팅부터 할까?
Windows만 쓰던 사람이 Mac으로 넘어오면 어색한 것이 너무 많다. 나중에 재세팅을 위해서 어떤 설정들을 했는지 기록해 본다. 윈도우일땐 눈쟁이님껄 보고 세팅했지만 맥에서는 내가 내 세팅을 만들어봐야지

사용을 해가면서 어떤 세팅은 추가될 수 있다.

1. app store에서 필요한 앱 설치

정말 본인이 쓰는 앱을 설치하면 된다. 
1. 카카오톡
2. 슬랙
3. Xcode(개발용임)
4. Notion
등등 App Store나 웹에서 검색해서 설치하면 된다. 설치한 앱은 Spotlight(⌘ + spacebar)에서 Launchpad를 검색하거나 트랙패드에서 네손가락? 다섯 손가락을 안에서 밖으로 쓸면 나온다.

 

2. 크롬 설치(브라우저)

현대인의 필수 크롬은 꼭 설치하자. brew로 설치도 가능하다고 나중에 알게 되었다. 나는 safari에서 크롬을 검색해 설치했다. 아마 다르지 않겠지?

크롬 설치라고 했지만 본인이 쓰던 브라우를 설치하면 된다. 요즘 나는 크롬 말고 Arc라는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다. 일단 예뻐서 사용하고 있는데 익숙해지고 나니까 만족..? 은 잘 모르겠고 쓸만하다.

 

3. 기본 웹 브라우저 세팅(링크 클릭하면 어떤 브라우저 사용할 건지)

4. 화면분할

windows에 절여진 나로서 단축키는 필수인데. mac에서 지원해 주는 스플릿뷰는 단축키가 없는 모양이다. 그래서 선택한 프로그램은 Rectangle인데

캡처는 내 설정 상태인데 기본설정에서 크게 다른 건 없다. 거의최대화를 추가하고 디스플레이 이동을 삭제했다.

  1. 왼/오른쪽 절반 : 윈도우에서 쓰던 control + 방향키 설정으로 할까 했지만 맥에서 control + 방향키는 데스크톱 이동이길래 마음에 들어 기본설정대로 써보려 하고 있다. 
  2. 최대화 : 기본 단축키로 command + control + F 가 최대화이지만 옆 데스크톱으로 넘어가면서 최대화가 되는 건 불편해서 Rectangle 설정을 쓰고 있다. 가끔 최대화는 너무 부담스럽다면 손가락을 조금만 옮기면 "거의 최대화"를 할 수 있는데 이것도 추천한다.
    tip!  command + option + D 는 화면 아래에 앱 모여있는곳(이름모를 그곳)을 안보이게 내려주는데 안보이게 해 주고 전체화면을 쓰자. 필요한 경우가 생긴다면 Fn + A 로 잠깐 꺼내서 방향키로 키고 싶은 앱을 켜면 된다.

Dock이라는듯?

 

5. 화면잠금 단축키 변경

윈도우에서 화면잠금은 ctr L 이었는데 이 키가 바뀐 게 조금 불편해서 단축키를 바꿔본다.
설정 -> 키보드 -> 키보드 단축키 -> 앱 단축키 -> + 누르기 -> 화면 잠금 or Lock screen(영어) -> 커멘드 설정

한글설정이라면 화면 잠금이라고 적으면 된다. 영어일 때는 Lock screen 일 걸?
윈도우랑 비슷하게 command + L 로 했지만 각자 취향에 맞게 설정하자.

단점

화면 잠금키를 command + L로 하면 다른 키 매핑이랑 겹쳐져서 불편할 수 있다. 크롬에서 주소창으로 가는 키가 이거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난 vimium을 써서 그냥 B로 대신한다.

 

6. 폴더 정렬

이게 편한듯 또 불편한게 폴더가 자기 멋대로 위치하는 현상이다. 알아서 정렬되는걸 선호해서 이것도 설정해본다.

 

원하는 정렬을 선택하자. 나는 이름이나 자동 격자 정렬을 제일 많이 쓰는듯?


 

개발자가 한 세팅

이라고 제목은 지었지만 기록을 잘 하지 않는 성격이라 그때 그때 찾아서 한다.
제일 중요한건 brew로 인터넷에서 설치하는것보다 좋다. 최신 버전 찾아오기도 편하고 딸깍 한 번이면 된다.
그 다음으로 개발자에 따라서 vscode나 jetbrain terminal 등을 쓸텐데. item2 세팅도 해봤다가 다시 vscode로 돌아간 나다. 아래 목록은 내가 했던 세팅인데 세팅 해놓고 쓰지 않기도 해서 또 세팅할 기회가 생기면 그 때 적어봐야겠다.

Brew 설치와 brew install "필요한 거"

 

Visual studio code 설치와 터미널에서 code로 vscode 실행하기

 

ZSH 세팅

 

폰트 및 개발자가 흔히 하는 세팅

 

NVM설치

node를 설치해도 좋지만 프로젝트마다 버전이 다를 수 있기때문에 나는 NVM을 설치하는 편이다. NVM은 Node Version Manager로 말 그대로 노드 버전을 관리하는 매니저다. 원하는 버전을 설치하고 바꿔줄 수 있으니 추천한다.

brew install nvm
mkdir ~/.nvm

export NVM_DIR=~/.nvm
source $(brew --prefix nvm)/nvm.sh

 

brew install nvm 하면 설치는 끝이다.
버전 관리할 폴더를 생성해 주고 zsh이든 bash든 rc설정을 해주자.

nvm install "버전" , nvm use "버전" 등등 있을만한 명령은 다 있으면 필요하면 검색해서 사용해보자.

 

 

 

참고

https://whalec.io/homebrew-%EC%84%A4%EC%B9%98-%EB%B0%8F-%EC%82%AC%EC%9A%A9-%EB%B0%A9%EB%B2%95/

https://95pbj.tistory.com/42

https://geonlee.tistory.com/246#google_vignette

https://danaing.github.io/etc/2022/03/28/M1-mac-iTerm2-setting.html

반응형